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성주사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낭혜화상 무염(無染)의 탑비이다.
낭혜화상은 무열왕의 8세손으로 애장왕 2년(801)에 태어나 열세 살 되던 해에 출가, 헌덕왕 13년(821)에 당나라로 유학하여 수도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문성왕 7년(845)에 귀국하여 당시 웅천(지금의 보령)에 있던 오합사(烏合寺)의 주지가 되었다.
이 절에서 선(禪)을 널리 알리고 점점 크게 번성하게 되자, 왕은 ‘성주사’라는 절 이름을 내려주었으며, 진성여왕 2년(888) 89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낭혜’라 하고, 탑 이름을 ‘백월보광’이라 내리었다.
절터 서북쪽에 세워진 이 비는 거북 모습의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로 머릿돌을 얹은 모습으로 받침돌이 심하게 부서진 채 흙에 묻혀 있던 것을 1974년에 해체·보수하였다.
얼굴의 일부분이 깨져 있는 거북은 머리 위쪽에 둥근 뿔이 나 있고, 뒤로 째진 눈에는 눈썹이 휘말려 있으며, 입은 마치 불을 내뿜으려는 기세이다. 등에는 선명한 이중의 육각무늬를 새기고, 중앙에는 제법 굵직한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구름무늬 위로는 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을 높게 마련하여 각 면을 장식하였다. 길다란 비몸은 앞면에만 비문을 새기고, 위쪽 양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놓았다. 맨 위에 올려진 머릿돌은 밑면에 연꽃을 두르고, 그 위로 구름과 용이 서로 뒤엉킨 장면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는데, 힘찬 용틀임과 웅장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다. 앞면에는 받침돌의 거북머리와 같은 방향으로 용머리가 툭 불거져 나와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
비문에는 낭혜화상의 업적이 자세히 적혀 있는데, 진골이던 낭혜화상의 가문이 아버지 대에 이르러 6두품의 신분으로 낮아지는 대목도 나타나 있어 당시 신라골품제도의 연구자료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최치원이 글을 짓고 그의 사촌인 최인곤이 글씨를 썼으며, 비를 세운 시기는 적혀 있지 않으나, 낭혜화상이 입적한 지 2년 후인 진성여왕 4년(890)에 그의 사리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 이 때 비도 함께 세웠을 것으로 보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탑비 중에서 가장 거대한 풍채를 자랑하며, 화려하고 아름다운 조각솜씨가 작품속에서 유감없이 발휘되어 통일신라시대 최고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 국보, 8호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아이콘, 스케치
- 사용프로그램 : Figma - The Collaborative Interface Design Tool
- 스케치 및 드로잉 사용기법 : Pen, Pencil
피그마(Figma) 디자인 툴은 아래 링크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Figma: The Collaborative Interface Design Tool
Figma is the leading collaborative design tool for building meaningful products. Seamlessly design, prototype, develop, and collect feedback in a single platform.
www.figma.com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스케치의 목적
한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예술적 경이로움을 스케치를 통해 깊은 관계를 맺고자 합니다. 많이 부족하지만 제 열정을 여러분과 공유합니다. 스케치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필수 목표를 달성하는 것입니다.
- 문화유산 보존: 한국의 국보를 스케치하고 전시함으로써 블로그는 한국의 풍부한 문화유산 보존에 기여합니다. 이 보물은 엄청난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예술적 표현을 통해 블로그는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교육적이고 유익한 콘텐츠: 이 블로그는 각 국보의 역사, 문화적 맥락 및 중요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교육적 가치를 제공합니다. 스케치와 함께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독자들은 한국의 유산과 역사적 기여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 문화 교류 및 연결: 블로그는 한국의 국보에 익숙하지 않은 다양한 배경의 독자를 끌어들이는 문화 교류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스케치를 국제 청중과 공유함으로써 블로그는 전 세계 문화 다양성에 대한 연결 및 감사의 감각을 키웁니다.
- 관광 및 여행 홍보: 국보 스케치는 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하고 역사적 랜드마크를 직접 탐험하도록 시각적인 초대장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는 여행자들이 여정에 이러한 보물을 포함하고 국가의 문화적 풍요로움을 경험하도록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 예술적 탐구 장려: 스케치를 공유함으로써 블로거는 다른 사람들이 스케치를 시작하거나 다양한 예술적 매체를 탐구하도록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이것은 블로그의 청중들 사이에서 예술과 창의성에 대한 더 넓은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국보 스케치의 목적은 예술을 통해 한국의 국보를 기념하고, 관객에게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교육하며, 예술과 유산에 열정을 가진 개인의 커뮤니티를 육성하는 것입니다. 부족하지만 재능을 발휘하여 미래 세대를 위해 한국의 독특하고 귀중한 보물을 홍보하고 보존함으로써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대한민국 국보, 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관련정보)
: Stele of Buddhist Monk Nanghye at Seongjusa Temple Site, Boryeong
지정(등록)일 | 1962.12.20 |
소재지 |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8 |
시대 | 통일신라 진성여왕4년(891) |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관리자(관리단체) | 보령시 |
대한민국 국보, 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교통 / 주차장 정보)
-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 가는길은 아래 이미지를 통해 카카오맵으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보, 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근처 볼거리)
- 개화예술공원 : 09:00 ~ 18:00
- 석탄박물관 : 09:00 ~ 18:00
- 오천항 전망대 : 연중무휴
- 청천호 : 연중무휴
- 보령박물관 : 09:00 ~ 18:00
대한민국 국보, 8호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근처 맛집)
맛집 리스트 | 대표 메뉴 |
청천회관 | 민물장어, 새우탕, 한정식 |
성주불난가든 | 닭볶음탕, 백숙 |
황해원 | 짬뽕, 짬뽕밥 |
성주별난버섯 | 버섯불고기, 버섯갈비탕, 들깨버섯탕 |
한촌설렁탕 | 곰탕, 설렁탕 |
대천키조개삼합 | 키조개해물삼합,키조개해물샤브샤브 |
종자네먹거리 | 우럭매운탕,간제미탕 |
관촌면옥 | 백숙,오리주물럭,메밀소바 |
백소정 | 등심카프,모짜렐라치즈카츠,오로시카추,에비텐 모듬카츠 |
신설회관 | 한우불고기 전골,왕갈비탕,불고기 비빔밥,육회비빔밥 |
우리나라 문화유산 여행, 관광, 체험 및 이벤트 정보
보령시 문화관광 : 상세정보 및 신청하기는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문화관광
brcn.go.kr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10호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0) | 2023.08.12 |
---|---|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9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0) | 2023.08.07 |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7호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0) | 2023.08.05 |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0) | 2023.08.05 |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