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전시회, 국보 제 21호 ~ 40호

by 나도한다 부자아빠 2023. 9. 17.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전시회

역사적 중요성이 큰 대한민국의 국보를 심플하게 그린 아이콘 스케치 컬렉션을 한자리에 모아 전시회 형식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우리나라 문화유산은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탁월성을 지닌 보물창고 입니다. 문화유산을 보여주는 다양한 측면 중에서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전시회는 한국의 예술적, 역사적 과거를 엿볼 수 있는 매력적인 시간을 제공해 줄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한국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홍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겠습니다.

자 그럼, "대한민국의 국보 제 21호 ~ 제 40호의 심플한 아이콘 스케치를 공개합니다."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민국의 국보는 나라에서 지정하여 법률로 보호하는 중요한 문화재입니다. 대한민국에서 건출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에서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또한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별도로 지정된 문화 유산을 말합니다.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국보 제 21호 ~ 제 40호

대한민국의 국보 제 21호 ~ 제 40호의 심플한 아이콘 스케치 입니다. 많은 관심 가져 주시고 소중한 우리나라 문화유산을 주위에 알려주세요!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국보 제 21호 ~ 제 40호 (아이콘, 스케치)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국보 제 21호 ~ 제 40호 (아이콘, 스케치)
대한민국 국보 아이콘 스케치 상품 홈페이지

 

 

대한민국 국보 리스트, 국보 제 21호 ~ 제 40호

대한민국의 국보 제 21호 ~ 제 40호 리스트 입니다.

국보 제 21호 ~ 제 40호의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 제 21호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1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과거·현재·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淨土), 즉 이상향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2호 :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2호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2호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연화교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3호 :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3호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3호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불국사의 예배공간인 대웅전과 극락전에 오르는 길은 동쪽의 청운교와 백운교, 서쪽의 연화교와 칠보교가 있다. 청운교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4호 : 경주 석굴암 석굴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4호 경주 석굴암 석굴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4호 경주 석굴암 석굴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대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5호 :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5호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5호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신라 제29대 왕인 태종무열왕의 능 앞에 세워진 석비이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졌던 비(碑)들은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받침돌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6호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6호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6호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경주시 토함산 기슭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삼국유사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7호 :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7호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7호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경주시 토함산 기슭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삼국유사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8호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8호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8호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경주시 북쪽 소금강산의 백률사에 있던 것을 1930년에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놓은 것이며, 전체 높이 1.77m의 서 있는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29호 : 성덕대왕신종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9호 성덕대왕신종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29호 성덕대왕신종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상원사 동종(국보),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보물)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0호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0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0호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현재 남아있는 신라 석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걸작품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올린 모전석탑(模塼石塔)이다. 원래 9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1호 : 경주 첨성대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1호 경주 첨성대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1호 경주 첨성대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단부(基壇部)위에 술병 모양의 원통부(圓筒部)를 올리고 맨 위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2호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대장경은 경(經)·율(律)·논(論)의 삼장(三藏)을 말하며, 불교경전의 총서를 가리킨다. 이 대장경은 고려 고종 24∼35년(1237∼1248)에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3호 :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3호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3호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빛벌가야(지금의 창녕군)를 신라 영토로 편입한 진흥왕이 이곳을 순시하면서 민심을 살핀 후 그 기념으로 세운 비이다. 당시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4호 :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4호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4호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탑이 세워져 있는 창녕군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에 속해 있던 곳이며, 진흥왕 때부터 신라의 정치·군사상의 요지가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5호 :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5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5호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지리산 자락에 있는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 5년(544)에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운 절로, 호남 제일의 사찰답게 많은 부속 건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6호 : 상원사 동종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6호 상원사 동종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6호 상원사 동종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동종으로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졌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보물)과 더불어 우리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7호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7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7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통일신라 신문왕이 돌아가신 후 그 아들인 효소왕이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세운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8호 :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8호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8호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원효대사가 주지로 있었던 고선사의 옛 터에 세워져 있던 탑으로, 덕동댐 건설로 인해 절터가 물에 잠기게 되자 지금의 자리인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39호 :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9호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39호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나원리마을의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으로, 경주에 있는 석탑 가운데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국보)과 경주 고선사지 삼층

moneyclass365.tistory.com

  • 제 40호 :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40호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우리나라 문화유산, 대한민국 국보, 40호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경주 정혜사터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1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인데, 통일신라시대

moneyclass365.tistory.com